단어장

ㅇㄷ(와드), 온라인에서 이거 모르는 사람 은근 많음

Side K 2021. 2. 25. 15:51

ㅇㄷ(와드)

종종 커뮤니티 게시판에 보면 댓글에 "ㅇㄷ"라고만 적어놓은 댓글들이 줄줄이 있는 것을 목격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댓글들을 유심히 보면 뭔가 해당 게시판 글을 다시 찾거나 중요해서 표시를 해두는 용도로 사용하는 듯한데 그 의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위키사전 & 영어사전

ㅇㄷ (URL : tinyurl.com/y7fmkdv8)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관심 있는 게시글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알림을 받기 위해서, 또는 추후에도 다시 방문하기 위해 댓글을 다는 행위를 와드박다라고 한다. 'ㅇㄷ' 등의 짧은 댓글을 달기도 한다.

 

ward (URL : tinyurl.com/y82bk6lg)

1. 병동, 병실 (양로원 등의)

2. 구, (도시의) 선거구

3. 감시, 감독, 감시인

 

 

 

단어의 의미

단어가 표기되는 변화는 최초 "ward"에서 "와드" 그리고 "ㅇㄷ" 이렇게 변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와드는 영어 단어 ward인데 그 뜻을 보면 "병동","선거구"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거의 실생활에서는 쓰이지 않는데 "위험을 경계하다 (감시, 감독)"라는 뜻을 갖고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마지막에 해당하는 "위험을 경계하다"라는 의미가 게임에서는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특히 아이템, 방어구 이름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PC방 부동의 1위 LOL에서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아이템 이름으로써 위 사진처럼 무슨무슨와드가 있습니다.

 

이 아이템들의 특징은 설치를 해두면 해당 지역을 지나가는 적 캐릭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이동을 알아채는 데 도움을 주는 용도입니다.

 

일종에 실시간 CCTV인 셈입니다.

 

이 개념이 커뮤니티나 온라인에서 그대로 사용하게 되어 특정 글에 내가 댓글로 "ㅇㄷ"라고 댓글을 달아두고 그 글을 다시 찾아보거나 글 상태를 실시간으로 들여다볼 때 활용하는 것입니다.

 

만약 내가 BTS에 관련된 글마다 "ㅇㄷ"라고 해두면 나중에 내 댓글 목록에서 "ㅇㄷ"만 찾아가면 BTS 관련 글로 바로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가장 많이 쓰이는 경우는 이성의 노출이 높은 사진에 "ㅇㄷ"를 많이 쓰는데 이렇게 해두면 나중에 내 댓글 목록에서 "ㅇㄷ"만 보면 이성의 사진이 있는 글을 쭉~~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 키보드 상에서 자판 위치도 가까워 입력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게 아닌가하는 개인적인 생각도 있습니다.

 

 

 

예시 문장

ㅇㄷ

 

와드 박았다

 

나도 (야짤에) 와드를 박았지만 너희들과는 다르다!!

 

 

 

추가 내용 & 개인 의견

와드가 출현한 게 언제인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2017년도 글에서도 와드가 보입니다.

 

그런 것으로 봐서 상당히 오래전에 생겨났고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신조어는 생겨나면 그 수명이 긴 것도 있고 짧아서 금방 사라지는 것도 있습니다.

 

시대가 변하면서 항상 말도 변화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윗 세대가 급식체니 뭐니 하면서 너무 한글 파괴라고 지적하지 말고 그저 그 시대를 지나가는 한 문화라고 생각하고 넘어갔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실제로 한 때 "뭐뭐하삼!! 삼!!"이라며 말 끝에 "삼"을 붙이는 것이 유행하는 때가 있었는데 지금은 아무도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금 우려하는 여러 가지 신조어들은 분명 그 수명이 있어 살아 남는 것은 살아남겠지만 사장되는 말도 있으니 너무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